기술

글보기
제목[지름] 연구과제 DevTerm Kit R-012022-03-18 15:13
작성자user icon Level 10

https://www.clockworkpi.com/product-page/devterm-kit-r01 


3833f7_e31578654eee44789c0f8be77b936b43_mv2.jpg
 


상기 물건이 제 눈에 처음 들어온 것은 친구가 카톡으로 보내준 기사에서 였습니다.


사진을 보자마자 외쳤습니다.


어멋 이건 사야되!!!


sungmo.png
 

단숨에 웹사이트에 가서 질렀습니다...


무제.jpg
60 영업일 내에 온다고 합니다... -_-;


참고로 사양을 알려 드리면 하기와 같습니다.


  • ClockworkPi v3.14 mainboard
  • R-01 Core module (RISC-V 64bit Single-core RV64IMAFDCVU @ 1.0GHz, No GPU, 1GB DDR3)
  • Ext. module
  • 6.86-inch IPS screen module
  • Clockwork 65% keyboard
  • Battery module*
  • Dual speaker
  • 58mm 200dpi thermal printer component
  • Shells and bracket system
  • 32GB high-speed TF-card with clockworkOS

이제 들어오는대로 개봉기부터 올리겠습니다.

오랜만에 심금을 울리는 제품을 리뷰하게 될 생각에 가슴이 둑은둑은합니다. ^^

그럼 계속해서 글을 올리겠습니다.

오랜 기다림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. ^^

좋은 금요일 행복하시기들 바랍니다.

감사합니다.


[2022-03-19]

판매 페이지의 첫 머리, 아래와 같은 문장을 읽지 못했습니다. -_-;

Please Note
DevTerm R-01 is a highly experimental model and requires some experience with Linux system & FOSS. We strongly recommend all beginners to choose other models.
“DevTerm R-01은 매우 실험적인 모델이어서 리눅스 및 FOSS에 대한 어느 정도 경험이 필요합니다. 초심자는 다른 기종을 선택할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.” 

처음에는 ARM 모델로 바꿀까 생각했지만, RISC-V라는 칩셋을 사용해 보고 싶었습니다.
(자, 이제 헬이 열리는 것입니까, 휴먼. -_-;)

많은 삽질이 예상됩니다...-_-+

미리 RISC-V와 리눅스의 호환성부터 살펴보아야겠습니다.
(한글 사용이 초미의 관심사입니다.)

성능이 제가 많이 사용한 라즈베리파이와 비교해서 어떨지도 많이 궁금합니다. 

원작인 TRS-80 Model 100 모델도 관심있게 확인해 보겠습니다.
(라즈베리파이와 연결하여 인터넷을 하시는 분도 계시네요 @>@  #링크)

PS - 주의가 하나 더 있었네요. -_-;
* Please note: The 18650 batteries are NOT included in the package. 

배터리를 안 준다고 합니다. -_-

[2022-05-31]

드디어 도착했습니다.

01.jpg
일단 여기저기 박스가 구겨져 있습니다. 이미 빈정 상했습니다. ^^

02.jpg
그리고 개봉! 꺄울.

03.jpg
네. 패닉이었습니다. 완전 조립식이네요. 40년만에 조립식을 만들어 보게 되겠습니다.

04.jpg
내용물들은 매우 깔끔하게 사출이 되어있습니다.

05.jpg
부품들도 디자인에 많이 신경 쓴 듯 보입니다.

자 이제 본격적으로 조립을 해보겠습니다!
내일. -_-;

[2022-06-01]

01.jpg
니퍼를 샀습니다. 제 단골샆에서요^^

02.jpg
이제 조립에 들어갑니다.

03.jpg
최고난이도 안테나 조립입니다. 여기서 안테나를 부러뜨렸다는 분이 있었습니다.

04.jpg
기판이 조립된 모습입니다.

05.jpg
조립의 난이도는 영장류면 만들 수 있는 수준이었지만, -_-; X손인 저는 손을 베이고 말았습니다.

06.jpg
완성!

07.jpg
부팅하면 친절한(?) 설명이 나옵니다.

08.jpg
Ctrl+Alt+T 를 누르면 터미널이 열립니다.

09.jpg
Ctrl+Alt+N 을 누르면 네트워크 셋업창이 열립니다. 여기서 Wifi를 선택하면 설정이 완료됩니다.

10.jpg
텔넷 접속 화면입니다. 저 BBS가 euc-kr로 되어있어서 한글이 깨져보입니다. DevTerm의 기본 locale은 C.UTF-8로 한글도 잘 보입니다.

11.jpg
계속 고주파음이 들여서 다시 뜯어보고 스피커도 제거해보고 했지만 원인은 의외로 이녀석이었습니다.

12.jpg
다른 어뎁터를 쓰니까 고주파음이 없어졌습니다.

[2022-06-07]

아래 세개의 버튼 중 맨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메뉴가 나옵니다. (이 스페이스바 아래의 세개의 버튼이 마우스 버튼입니다.)
01.jpg
저 메뉴에서 원하는 메뉴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버튼에서 손을 떼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듣도보도 못한 방식입니다.

02.jpg
메뉴에서 Qutebrowser를 선택하든지, Ctrl+Alt+B를 누르면 브라우저가 열립니다. 현재 RISC-V가 지원되는 브라우저는 이 Qutebrowser가 유일한 듯 합니다. 한글도 잘 나옵니다. 현재 한글 입력기가 없는 상태로 한글 입력은 되지 않고 있습니다. :open naver.com 이런 식으로 키보드를 치면 해당 URL로 이동합니다.

03.jpg
검색도 잘 됩니다.

[2022-06-08]

둠도 구동됩니다.

소리도 잘 납니다.

KakaoTalk_20220608_203102552.jpg
시스템 IME를 설치하지 못해서 일단 Sinseiki 님이 수정한 이호석 님과 팥알 님의 온라인 한글 입력기를 이용했습니다.
주소 : 

KakaoTalk_20220608_203103092.jpg
잘 붙여집니다. ^^ 시스템 IME는 숙제로~~ 일단 한글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.

KakaoTalk_20220608_221126573.jpg
기본 장착된 프린터는 열전사 방식으로 57X30 mm 감열지를 사용합니다. (57x40 도 가능해 보입니다.)

KakaoTalk_20220608_221127361.jpg
용지를 카트리지에 장착한 모습입니다.

KakaoTalk_20220608_221127971.jpg
상기와 같이 장착됩니다.

터미널을 열고

lpstat -p -d

를 입력하면 하면 현재 선택 가능한 프린터가 표시됩니다. 

lpoptions -d 프린터명

을 입력하면 기본 프린터가 선택이 됩니다. (예 : lpoptions -d devterm_printer)

lpq

를 입력하면 현재 프린터의 큐의 내용을 보여줍니다.

cat 파일명 | lpr

을 입력하면 바로 프린트가 됩니다. (예 : cat readme | lpr)


01.jpg
테스트 해보니 터미널에서 한글은 출력이 안되네요.
홈페이지는 출력이 잘 됩니다.

[2022-06-09]

2022-06-09 10 17 21.png
설치되는 VNC 서버가 있습니다!

<설정>
cpi@devterm-R01:~$ sudo apt update
cpi@devterm-R01:~$ sudo apt -y install x11vnc
cpi@devterm-R01:~$ x11vnc -storepasswd
cpi@devterm-R01:~$ echo '#!/bin/bash' > startvnc.sh
cpi@devterm-R01:~$ echo 'x11vnc -display :0 -forever -shared -o /home/cpi/x11vnc.log -bg -rfbauth /home/cpi/.vnc/passwd  -rfbport 5900' >> startvnc.sh
cpi@devterm-R01:~$ chmod +x startvnc.sh

<실행>
cpi@devterm-R01:~$ ./startvnc.sh

<중지>
cpi@devterm-R01:~$ x11vnc -R stop

VNC Client 에서 접속하실 때 포트는 5900번 패스워드는 x11vnc -storepasswd 에서 설정하셨던 패스워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


아파치 서버도 잘 설치됩니다.

아파치 설치
cpi@devterm-R01:~$ sudo apt-get update
cpi@devterm-R01:~$ sudo apt-get install apache2

서비스 시작
cpi@devterm-R01:~$ sudo service apache2 start

서비스 종료
cpi@devterm-R01:~$ sudo service apache2 stop

2022-06-09 15 59 53.png
Dosbox도 잘 실행이 됩니다. 설정후 이야기 5.3을 띄운화면입니다. ^^

2022-06-09 16 00 39.png
오우 텔넷도 잘 접속됩니다.

2022-06-09 21 58 30.png
드디어 한글입력에 성공했습니다.

2022-06-09 22 01 25.png
웹브라우저에서도 잘 입력됩니다.

<설치>
sudo apt-get install im-config
sudo apt-get install fcitx
sudo apt-get install fcitx-hangul

<실행>
im-config -n fcitx

sudo reboot

<한글 입력기 설정>
sudo vi /etc/profile.d/fcitx.sh

#!/bin/bash
export QT_IM_MODULE=fcitx
export GTK_IM_MODULE=fcitx
export XMODIFIERS=@im=fcitx
export DefaultIMModule=fcitx
 
#optional
fcitx-autostart &>/dev/null

<설정파일 바로 적용하기 (다음 로그인시에는 바로 적용됨)>
source /etc/profile.d/fcitx.sh

<한글입력기 설정 열기>
fcitx-config-gtk3


2022-06-09 22 16 05.png
+ 버튼 누르기

Only Show Current Language - 체크 해제

Hangul 선택 후 OK


2022-06-09 22 16 29.png
Empty 버튼 눌러서 Shift+space 눌러서 추가 (제 키보드 특성상 이렇게 추가한것이고, 한영키를 눌러서 추가하셔도 됩니다.)


한영전환 : Ctrl+Space 또는 Shift+Space


출처: https://somoly.tistory.com/ [somoly.tistory.com:티스토리]


[2022-06-13]


sudo apt upgrade 는 위험해 보입니다.

실행 후 리부팅을 했더니 부팅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.


결국 OS를 새로 설치했습니다. -_-;


<OS 설치>


1. OS 다운로드

http://dl.clockworkpi.com/


2. 러퍼스를 이용해서 메모리 카드에 이미지를 설치합니다

rufus-3.3p.exe


<UTC, KST로 변경>


시스템 시간이 9시간 차이가 나네요


아래와 같이 해주면 시간을 맞출 수 있습니다.


sudo ln -sf /usr/share/zoneinfo/Asia/Seoul /etc/localtime

댓글